S&P 500, 나스닥, 다우존스 지수
나스닥이 최고야, s&P500을 사야 해.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많이 듣는 단어이다. 오늘은 이 단어들이 무얼 의미하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1. S&P 500
미국 민간 신용평가사 S&P Global이 미국(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의 주식들을 모아 놓은 지수이다. 미국 증시 전반과 미국 경제 전반을 벤치마크 할 수 있는 지표이다.
자산운용사에서는 S&P 500을 추종하는 상품들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스테이트 스트리트사에서 만든 SPY, 뱅가드에서 만든 VOO, 블랙락에서 만든 IVV가 있으며, 국내시장에는 미래에셋의 TIGER 미국 S&P 500, 삼성증권의 KODEX 미국 S&P 500 등이 있다. 개인이 S&P 500에 투자하려면 자산운용사들이 만든 상품을 매매하면 된다. 이때 운용 보수가 수수료로 발생된다.
S&P 500에 포함된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엔비디아, 알파벳, 메타, 테슬라 등이 있다.
여담으로 미국 투자 구루 워렌 버핏은 가족에게 자신이 죽은 뒤 재산의 10%는 미국 국채에 나머지 90%는 이 지수에 투자하라고 말하기도 했다.
2. 나스닥
나스닥은 증권거래소 중 하나이다. 뉴욕증권거래소 다음으로 큰 거래소이며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애플 등 IT 회사들이 거래소에 대거 상장되어 있다. 우리가 흔히 나스닥에 투자한다고 하는 것은 나스닥 100 지수(나스닥 거래소 상위 100개 기업)를 추종하는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다. Invesco에서 만든 QQQ가 대표적인 ETF 상품이다. 국내에는 TIGER 미국나스닥 100, ACE 미국나스닥100 등의 상품이 있다. 파생상품으로는 TQQQ(3배 레버리지), QLD(2배 레버리지) 등이 있다.
지수의 대표종목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브로드컴, 알파벳, 코스트코, 테슬라 등이 있다.
3.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다우존스앤캠퍼니의 창립자 찰스 다우가 창안한 주가 지수로서 다우 지수 등으로 불린다. 미국 증권거래서에 상장된 30개의 우량기업 주식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수에 포함된 회사는 3M, 아메리칸 엑스프레스, 애플, 보잉, 캐터필러, 셰브런, 시스코 시스템, 코카콜라, 엑슨모빌, 골드만삭스, 홈디포, 인텔, IBM 등이 대표적이다. ETF로는 DIA가 있다.
마치며
아는 만큼 보인다. 제대로 알고 투자해야지 현명한 투자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 스스로도 다시 한번 공부하며 글을 마친다.
'생각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와 절세 혜택을 동시에(2탄) : IRP (0) | 2024.05.27 |
---|---|
투자와 절세 혜택을 동시에(1탄) : ISA (1) | 2024.05.27 |
잃지 않는 투자의 중요성(feat. 거인의 포트폴리오) (4) | 2024.05.24 |
자본주의와 금융 상품 이해 (8) | 2024.05.23 |
경제적 자유를 위해 우선 해야 할 일들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