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기 싫은 사람은 거의 없을 거다.
부자가 되어 시간의 자유를 얻고 자신의 자아실현을 하고 싶은 것은 누구나의 소망일 듯하다.
경제적 자유에 대한 정의는 어떤 가치에 주안점을 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해설할 수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경제적 자유는 '어디에 소속되어 하루의 시간을 얽매이지 않고 일을 할 수 있으며, 금융소득으로 생활 및 여가를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상태'라고 생각한다. 내가 어떻게 소비하냐에 따라 필요자금이 달라지겠지만, 금융소득으로 발생하는 수입이 월급 수준을 넘기는 정도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경제적인 자유는 어떻게 하면 얻을 수 있을까? 누군가는 월급을 모아서, 누군가는 금융상품에 투자해서, 누군가는 사업을 통해, 누군가는 부의 세습을 통해 부를 키우기 위해 노력한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물려받을 재산이 크지 않고, 월급으로 수입을 얻는 삶을 살고 있다. 이 상황에서 경제적 자유를 얻기는 불가능할까? 아니다. 충분히 가능하다. 그렇지만 쉬운 길이 아니기 때문에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 어렵지만 포기할 수 없는 법이다.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 보자.
낙원 계산기
https://keep-ones.me/#/paradise-calculator

'낙원 계산기'라는 사이트가 있다. 현재의 자산과 저축금액을 입력하면 은퇴시점의 자산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볼 수 있으며 목표치를 정해볼 수 있다.
<가정>
나이: 32
상황: 5년 차 직장인
보유 자산: 현금 5,000만 원
저축금액: 월 100만 원
은퇴시기: 62세
명목 수익률: 8% 예상(주식 투자)
<결과>
은퇴 후 자산: 23.36억
은퇴 후 월 수입: 401만 원

30년 뒤, 은퇴 시점에 아주 훌륭한 결과가 나왔다.
매월 100만 원씩 모으는 게 쉽지 않아 보이지만, 충분히 해볼 만한 금액이다.
'수익률 8%가 어디 쉬워?'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쉽지 않은 수익률이지만 적당한 자산에 투자하면 매우 어려운 수익율이 아닐 수 있다.(회사채의 경우 7~8%도 많고, S&P500의 연평균 수익률은 10% 정도이다)
결과에 만족 못한다면? 소득 증가분에 따라 저축금액을 늘리고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상품을 찾으면 된다.
그렇지만 너무 높은 수익률을 쫒다가는 리스크를 감당하지 못하고 실패할 수 있으니 본인만의 자산 계획을 잘 세우는 것이 필수적이다.
경제적 자유를 얻기는 쉬운 일?
위에 낙원 계산기를 두드려 보면 경제적 자유의 길이 내 눈앞에 있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인간의 본능을 억제하면서 투자를 지속하는 건 어려운 일인데 그걸 20년, 30년씩 흔들림 없이 유지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살다 보면 큰돈이 필요한 순간은 오기 마련이고 이때 나의 투자금이 사용될 수 도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첫째, 긴 호흡으로 승부한다. 빠른 시일 안에 경제적 자유를 얻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나 그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불가능하다. 이를 받아들이고 길게 투자하여 복리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인내한다.
둘째, 금융상품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여전히 우리나라 대부분은 사람은 경제, 금융에 무지하고 관심을 가지려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부자들이 더 많이 관심을 가지고 여러 방법을 실행하는 아이러니한 모습이다. 적금, 예금,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대한 공부와 더불어 자본주의라는 큰 사회 시스템을 이해해야 하는 게 우선이다.
셋째, 위험한 돈으로 투자하지 않는다. 전세자금, 마이너스통장에 있는 돈, 타인에게 빌린 돈 등이 위험한 돈이다. 이런 돈으로 투자하면 심리적으로 불안해지고 잘못된 판단을 하기 쉬우며, 돈을 계획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에 반드시 실패하게 되어있다. 월급에서 일정 부분을 떼어서 투자하자.
넷째, 규칙적으로 투자한다. 본인만의 계획을 세워 꾸준히 돈을 모으고 투자하고 또 투자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특히 주식시장의 경우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규칙이 없이는 돈을 지키기 매우 어려운 시장이다. 한두 번 운이 좋아 돈을 크게 벌 수 있지만 그런 돈은 결국 크게 잃기 마련이다. 지정된 날짜의 적립 매수, 계산 기반의 퀀트 투자 등의 대안이 있다.
마치며
오늘 낙원계산기를 통해 노후의 목표 자금을 모으려면 얼마나 저축하고 어느 정도 수익률이 필요한지 알아보고,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원칙에 대해서도 생각해 봤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끈기를 가지고 공부하고 투자하여 부자가 되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생각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와 절세 혜택을 동시에(1탄) : ISA (1) | 2024.05.27 |
---|---|
미국 3대 증권 시장 지수 알아보기 : S&P 500, 나스닥, 다우존스 (5) | 2024.05.24 |
잃지 않는 투자의 중요성(feat. 거인의 포트폴리오) (4) | 2024.05.24 |
자본주의와 금융 상품 이해 (7) | 2024.05.23 |
경제적 자유를 위해 우선 해야 할 일들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