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거리

나스닥 지수 MDD 최대낙폭 알아보기(feat. QQQ, QQQM)

by 파이어 재포리 2024. 7. 25.
728x90

오늘은 MDD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며 투자하고 있는 나스닥 지수의 연도별 MD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DD(Maximum Drawdown)

MDD란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최대 손실률을 의미합니다. 주식 시장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직선적인 상향이 아닌, 시장 환경에 따라 업다운이 큰 금융상품입니다. 따라서 내가 투자하는 종목의  MDD를 알고 있어야 하락장에서의 위험성을 알고 인내심을 가지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의 연도별 MDD

년도 MDD 년도 MDD 년도 MDD
2024 19.89 2015 5.73 2006 9.52
2023 43.42 2014 13.40 2005 1.37
2022 -33.10 2013 38.32 2004 8.59
2021 21.39 2012 15.91 2003 50.01
2020 43.64 2011 -1.80 2002 -31.53
2019 35.23 2010 16.91 2001 -21.05
2018 -3.88 2009 43.89 2000 -39.29
2017 28.2 2008 -40.54 1999 85.59
2016 7.50 2007 9.81 1998 39.63

\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지수답게 손실을 기록한 해보다 수익을 기록한 해가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최근 30년 간 최대 MDD는 2008년에 기록한 -40.54%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무턱대고 나스닥에 전재산을 투자할 수 없는 이유도 있습니다. 우선 수익을 기록한 해 역시, 변동성을 보이며 상승을 했다는 점과 내가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역사적 손실폭을 기록할 수 있다는 가능성입니다. 나스닥을 열심히 투자하고 있었는데 2002년에 주식을 다 팔아야 되는 상황이 왔다면 어떨까요? 

 

MDD를 줄이는 방법은?

높은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나의 소중한 자산을 무턱대고 MDD가 큰 상품에 투자하는 건 매우 위험한 투자입니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되 MDD를 줄이려는 노력도 동반되어야 합니다. MDD를 줄이는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포트폴리오 다양성 확보 : 상관성이 낮은 자산 간에 분산투자하는 것입니다. 나스닥 지수(QQQ)에 50%를 투자한다면 50%는 채권이나 현금성 자산 등에 투자하면서 MDD를 낮출 수 있습니다.

 

2. 리밸런싱 :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수익실현과 더불어 손실난 자산의 추가 매입으로 향후 자산의 회복 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바벨 전략 등)

 

3. 손실 회복 시간 이해 : A 종목이 50% 손실을 난 경우, 원래 주가로 회복하려면 100%가 상승해야 합니다. 참고로 손실률이 50% 일 때 연간 수익률이 10%라면 원금 회복에 약 5년 정도의 시간이 걸립니다.

 

4. 경제 공부 : 평소 시장 및 경제, 금융에 대한 공부를 꾸준히 하여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는 힘을 기릅니다. 공부를 한다고 해서 100% 옳은 판단을 정확하게 내릴 수 없지만 멍청한 판단은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 글을 작성하면서 연간 MDD를 보니, 왜 나스닥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투자처인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높은 수익률의 달콤함에 빠져 MDD를 가볍게 생각했다가는 하락장에 매우 큰 고통과 손실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현명한 투자를 응원하며 오늘 글을 마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