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거리

퇴직급여 제도 비교 분석 및 퇴직연금 상품과 투자 한도 정보

by 파이어 재포리 2024. 7. 16.
728x90

급여를 받는 근로자라면 퇴직급여에 대해 반드시 관심을 가지고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오랜 세월 일한 뒤 퇴직하려고 봤는데, 퇴직급여가 손해라면 노후 계획에 큰 지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퇴직급여 제도가 어떻게 운영되고 어떤 상품을 운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급여 제도란?

퇴직급여란 근로자의 퇴직 후 노후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퇴직금 제도퇴직연금 제도로 구분하여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상시군로자 4인 이상 회사에 다니고 있다면 모두 퇴직급여에 적용됩니다. 예외사항도 있는데요,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4주 내 평균 근로시간이 주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게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회사는 퇴직급여 제도(퇴직금, 퇴직연금) 중 하나 이상의 제도를 선택하여 운영해야 합니다. 이때는 해당 사업장 근로자의 과반수 동의를 받아 운영할 수 있으며, 변경 시에도 마찬가지로 동의가 필요합니다.

퇴직 급여
퇴직금퇴직 연금
퇴직금을 사내에 별도 적립, 체불 문제 가능성 有퇴직금을 금융기관이 관리하여 수급권 보장
 DB형(확정급여형), DC형(확정기여형), IRP(개인형 퇴직연금)

 

1. 퇴직금 제도

회사가 사내 보유금으로 퇴직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로 계속근로연수 1년에 대해 30일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금 해야 합니다. 
 
법정 퇴직금 = 30일 이상의 평균임금*총근로일수/365
누진 퇴직금= 30일 이상의 평균임금*총근로일수/365*누진율
 
위 계산은 최소기준이며 근속연수에 따라 1 이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초과 지급할 수 있습니다.
 

2. 퇴직연금 제도

회사가 퇴직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금융회사에 정기적으로 적립하는 제도입니다. 금액은 회사나 근로자가 금융 상품에 운용할 수 있고, 근로자가 퇴직하면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크게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제도와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제도로 나눠집니다.

 DB형(확정 급여형)DC형(확정 기여형)★ IRP(개인형 퇴직연금)
운용회사가 금융기관에 퇴직금을 예치하고 운용회사가 금융기관에 퇴직금 예치 후 근로자가 직접 퇴직금 운용본인이 추가로 IRP 계좌에 납입하고 직접 자산 운용
변동성회사가 운용하는 퇴직금의 투자 성과에 상관없이 퇴직금 확정투자 성과 = 내 퇴직금
지급 방법퇴직 시 IRP 계좌로 지급
(연금 또는 일시금 수령)
연금 또는 일시금 수령
퇴직 시 수령 금액3달 평균 임금*근속 연수회사 기여금(매년 연봉의 1/12)*투자수익률DB/DC 이전 금액 + IRP 추가 운용 수익

 
임금인상률이 자산 운용 수익률 보다 높은데 재테크 지식은 부족하다 → DB형
임금인상률보다 자산 운용 수익률이 높고 투자에 자신이 있다 → DC형
노후에 추가 자금 운용이 필요하고 세액공제 혜택을 누리겠다 → IRP
 

퇴직연금 투자가능 상품과 투자 한도

퇴직연금 상품은 위험자산과 비위험자산으로 구분되어 투자가 가능합니다. 위험자산의 한도는 70%로 설정되어 최소한의 안전(30%)은 지킬 수 있습니다. 위험자산 비중이 70%를 초과할 경우 고객에게 고지되며, 비중을 줄이기 전까지는 위험자산을 추가로 매입할 수 없습니다. TDF는 은퇴시점을 목표로 생애주기에 따라 위험자산 비중을 줄여 나가는 상품으로 100% 투자 가능합니다.

한도위험자산 여부구분상품 예시
100%비위험자산(원리금 보장)정기예금시중은행/저축은행/우체국 예금
ELB, RP증권사 발행 ELB, RP
*ELB는 타사 발생상품만 가입 가능
채권국고채, 물가채, 통안채 등
채권형 펀드, ETF단기채, 만기매칭형, 회사채, MMFM 채권형, 채권혼합형
*BBB-미만 채권 30% 이내
TDF(비위험+위험)적격 TDFTDF 펀드, TDF ETF
*운용기간 내 주식 80% 이내, 목표시점 이후 주식 40% 이
70%위험자산(원리금 비보장)채권투자적격 등급 회사채
채권형 펀드, ETF글로벌채권형, 하이일드채권형 등
주식형 펀드, ETF주식형, 주식혼합형 펀드
*사모상품, 파생형, 인버스, 레버리지, 파생 ETF 불가
대체 자산 지분 증권상장 리츠, 상장 인프라
대체 자산 펀드 ETF리츠 펀드, 인프라 펀드 등 리츠 ETF, KRX금현물 ETF, 구리실물 ETF 등
자산 배분형 펀드, ETF자산배분형, EMP형, OCIO형

 
 

마치며

자본주의 시대에 자신의 자산을 스스로 지키지 않으면 손해를 보는 세상입니다. 이 글을 읽고 난 뒤 바로 해야 하는 일은 첫째, 내가 다니는 회사의 퇴직 연금 제도 파악하기. 둘째, DB형일 경우 개인 IRP 운영 고민, DC형일 경우 재테크 공부로 운용 수익률 높이기입니다. 오늘 소개드린 제도를 잘 분석한 다음 소중한 자산이 손해보지 않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728x90